[앵커] 김형기 중령을 비롯한 현장지휘관들은 계엄 당일 지시를 따르지 않으며 항명죄로 처벌받을 위험도 감수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계엄으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아무 일도 없었던 건 아무 일도 하지 않은 현장의 군인들 때문.
마이크를 쥐고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부정했던 윤 전 대통령이 이번엔 계엄 당시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한 군지휘관들을 직접 신문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리포트 ▶ 지난주 월요일 첫 공판 때는, 차에.
취지의 궤변을 읊고, 검찰 수사와 헌재 결정을 흔들며 불만을 토로하는 데 급급했다.
반면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군 일선지휘관들은 계엄 당시 직속 상관으로부터 "국회에 진입해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일제히 증언했다.
탄핵 재판에서 주장해 온 "12·3 비상계엄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평화적 계엄"이라는 취지의 논리를 유지했다.
군 일선지휘관들은 그러나 "비상계엄 당시 상관에게서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리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다.
이에 의문을 가졌다는 증언은, 윤 전.
이는 윤 전 대통령의 지시에.
임무 부여를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당초 부르려던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대신 현장지휘관들이 형사재판 첫날 증인으로 채택된 것에 대해, 순서에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같다며 강하게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1차 공판에 차량을 타고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로 병력을 이끌고 출동했던 군지휘관들이 1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상관들로부터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임무 부여를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당초 부르려던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대신 현장지휘관들이 형사재판 첫날 증인으로 채택된 것에 대해, 순서에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같다며 강하게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21일 2차 공판기일에서는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로 출동했던 군인 2명이 증인으로 출석했고 ‘국회의원을 국회에서 끌어내라는 지시를.
국회에 출동했던 김 대대장과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이 증인으로 출석해 반대신문이 진행됐다.
윤 전 대통령 쪽은 ‘국회에서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증언이 거짓말이라며 몰아세웠지만, 당시 현장지휘관이었던 증인들은 흔들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