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 등으로, 1,516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128가구에 전기가 끊겨 있고, 천백여 가구에 상수도 복구가 늦어지며 상수도정비율은 71%입니다.
이재민 360여 가구, 540여 명은 임시 대피소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평균 669개소)는 지방하천이었다.
4%(연평균 46개소)에 불과했다.
매년 지방하천에 홍수 피해가 집중됨에도 제방정비율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07% 수준이었던정비율은 2023년 48.
78%에 머물며 개선이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부분 철거를 포함한 정비 동 수는 행정대집행 실시 31개 동, 건축주 자진 시정 40개 동, 시 매입 철거 6개 동 등 총 77개 동이다.
정비율은 94%를 보이고 있다.
파주시 관계자는 "영업 여부를 불문하고 대기실과 창고 등 불법 건축물에 대한 지속적인 행정대집행을.
지난해 12월부터 갑천·대전천·유등천 등 주요 하천을 미리 준설한 덕분에 이번 폭우를 비교적 잘 넘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비율낮은 지방하천…국가 책임 강화해야=지방하천 정비가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3.
156세대 253명으로 산청읍, 시천면, 신안면, 생비량명, 신등면 등이다.
정전과 단수로 어려움을 겪던 5929호와 4063호는 100%정비율을 보이고 있다.
극한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산청군에 도움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피해 이후 이날(9시 기준)까지 4만 3260.
동 중 부분 철거를 포함한 정비동수는 행정대집행 실시 28개동, 건축주 자진시정 41동, 시 매입철거 5개동으로 총 74개동, 90%의정비율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이행강제금 반복 부과를 병행한 강력한 행정조치로 영업 중인 업소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방하천 정비사업이지방사업으로 이양돼 예산이 부족한 지차체가 모든 사업비 부담을 떠안고 있습니다.
실제로 경남의 지방하천정비율은 47.
5%인 반면 국가하천은 87.
지방하천이 671곳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경상남도는 지난 2022년부터 침수.
이에 따라 재정 여력이 부족한 지자체의 지방하천에서 수해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7%와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 결과 홍수피해 규모도 2023년 기준으로 국가하천은 176억원임에 반해.
부담하도록 바뀌었는데, 재정 비율이 낮은 지자체의 지방하천에서 수해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실제 지방하천정비율은 49.
7%와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 결과 홍수 피해 규모도 2023년 기준 지방하천은 1627억원으로.
바뀌었는데, 재정 비율이 낮은 지자체의 지방하천에서 수해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제기돼왔다.
실제 지방하천정비율은 49.
7%와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 결과 홍수피해 규모도 2023년 기준 국가하천은 176억원인데 비해 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