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뉴시스] 경기 포천시는6군단부지반환을 위한 국방부와 상생협의체를 구성하고 논의 끝에 '기부 대 양여' 방식을 확정했다.
사진은 지난 2022년 개최된 제1회 국방부-포천시 상생협의체.
6군단반환을 촉구하는 집회 현장.
한국전쟁 직후 경기 포천시 자작동에 창설돼 약 70년간 주둔했던6군단이 국방 개혁에 따라 지난 2022년 12월 해체됐다.
군이 무상 점유한 옛6군단부지에는 포천시 소유 땅 약 30%가 포함된.
가게 유리 진열장에 인근 5사단, 28사단 부대 마크부터 견장, 군번줄이 수두룩했다.
3년 전 해체된6군단패치도 한 군데 모여 있었다.
미처 팔리지 못한 이른바 '사제' 티셔츠와 전투모에 먼지가 내려앉았다.
유씨는 휘황찬란한 전역모를.
요구에 '사용하려면 재산가액 2.
5%에 해당하는 임대료를 내라'는 원론적 답변이 돌아와 황당했다"고 말했다.
국방부가 그동안 구6군단부지 전체 면적의 28%를 차지하는 시유지 26만㎡를 무상으로 사용하고서도 구6군단부지 무상요구에는 국유재산법을 들어.
市 부담액 1천억 늘며 수용 난항‘기부 대 양여’ 방식 수정 비판도市 “국방부와 협의 이어나갈 것” 국방부와 포천시의 옛6군단부지 반환 협상이 최근 급등한 부지 이전 비용으로 난항이 우려되고 있다.
1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양측이 ‘기부 대 양여’ 방식.
사진 = 포천시의회 제공 포천시가 국방부와 추진 중인 옛6군단부지의 기부 대양여 방식을 두고 비판이 일고 있다.
지난 25일 열린 포천시의회 제186회 정례회에서 연제창 의원(부의장)은 5분 발언을 통해 포천시가 국방부에 더이상 기만당할 수 없다며 전면 포기를.
수천억 원을 들여야 하는 타 지자체와의 형평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습니다.
수십 년 간 무상으로 써온 포천시 소유 부지만 30% 이상이었습니다.
장기 협상 끝에 국방부와 포천시는 '기부대 양여' 방식의.
시의회는 지난달 발생한 포천지역 한 마을에 발생한 오폭사고로 시 전체 이미지가 크게 추락한 데 대해 이 같은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포천시 창설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